티스토리 뷰

충청권  광역철도 핵심인 계룡~신탄진 철도에 대해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사업개요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는 기존 운영 중인 호남선과 경부선 일반철도 노선을 개량해 전동차를 투입·운영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계룡~중촌까지 호남선, 오정~신탄진까지 경부선을 각각 연결한다 총 연장은 35.4㎞이고, 정거장은 12개소를 설치한다. 총 사업비는 약 2,307억원이다.

 

추진상황

해당 사업은 2015년 8월 광역철도 지정 이후 예비타당성 조사, 기본계획 고시 등 후속절차를 거쳐 2019년 12월부터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021년 4월 21일 대전시·충청남도·국가철도공단·한국철도공사와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의 원활한 건설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협약에 따라 국가(철도공단)은 광역철도를 건설하고, 지자체는 차량 소유 및 운영손실금 등을 부담하게 된다. 또 철도공사는 열차를 운행하는 등 기관별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정부는 협약 체결 이후 실시설계 및 전동차량 제작 착수를 연내 완료하고, 2022년부터 본격적인 공사를 시작해 2024년 말 개통할 계획이다.

 

개통이 후 

 

해당 구간은 하루 편도 65회 운행 예정이며, 용두(대전 1호선), 서대전·오정(대전 2호선) 등 기존 대전 도시철도와 환승이 가능해 연간 약 700만 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사업으로 대전시를 포함한 충청권 주요 거점도시 간 접근성이 크게 향상돼 향후 대전도시철도와 연계, 충청권 광역철도 2단계 및 옥천연장 등 확장을 통해 지역 균형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된다 . 또한 충청권 광역철도의 개통으로 인해 주변 지역의 부동산 가격과 개발 가능성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신설역인 도마·문화·용두·중촌·오정·덕암 역은 새로운 개발 호재로 작용할 것이다. 충청권 광역철도는 수도권과 대응하는 비수도권의 광역권 형성을 위한 광역철도 중심의 광역 교통망 구축에도 기여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국가 균형발전과 충청권 메가시티 완성을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앞으로 연계될 철도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는 충청권 광역철도 2단계와 연계될 예정입니다. 충청권 광역철도 2단계는 신탄진역에서 조치원역까지를 잇는 구간으로, 2021년 4월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습니다. 이 사업은 총 연장 25.8㎞이고, 정거장은 7개소를 설치할 계획입니다.총 사업비는 약 3조 5천억 원이며, 개통은 2029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는 또한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와 연계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는 반석역에서 세종을 거쳐 청주를 잇는 구간으로, 현재 구상 단계에 있습니다.

 

이 사업은 총 연장 76.6㎞이고, 정거장은 14개소를 설치할 계획입니다. 총 사업비는 약 8조 5천억 원이며, 개통은 2030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는 마지막으로 충청권 광역철도 3단계와 연계될 예정입니다.

 

충청권 광역철도 3단계는 강경역에서 계룡역까지를 잇는 구간으로,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입니다.이 사업은 총 연장 29.9㎞이고, 정거장은 6개소를 설치할 계획입니다

반응형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대보증금반환자금보증 알아보자  (0) 2023.05.18
지구단위계획이란?  (0) 2023.05.17
소규모재건축  (0) 2023.05.14
GTX-A 수도권광역철도  (0) 2023.05.05
금리 전망에 대해 알아보자  (0) 2023.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