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ckw7O/btsHZepohOE/kgjrkZNKlvY0G1xQneKOlk/img.png)
라면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먹거리이자 문화다. 라면 업계에서는 농심과 삼양식품이 오랫동안 대장주 자리를 놓고 경쟁해왔다. 그러나 최근 삼양식품이 농심을 압도하는 주가 상승을 보이며 라면 대장주 자리를 차지했다.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의 해외 수출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생산시설 증설에 나섰다. 반면 농심은 수출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울산에 신규 물류센터를 신설한다고 공시했다. 두 회사는 K-라면의 인기에 발맞춰 시설 투자를 늘리는 모습이다. 증권가는 이들 종목의 눈높이를 더 올려 잡고 있다. 농심이 삼양식품에 내준 라면 대장주 자리를 되찾을 수 있을지, 그 비결은 무엇일지 살펴보자. 농심, 신규 물류센터 건립으로 수출 확대 기대농심은 지난 12일 울산에 신규 물류센터를 신설한다고 공시했다. 연면적 5만평 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SNsea/btsH0bd78KS/GC013eWRfP7Q2K0Zk11KwK/img.png)
미국의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이 어닝 서프라이즈와 주식 분할을 발표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BofA)는 브로드컴의 목표가를 상향 조정하고, 브로드컴이 시가총액 1조달러 클럽에 가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브로드컴은 인공지능 (AI) 분야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클라우드, 통신 등 다양한 시장에서 칩 수요를 확보하고 있다. 브로드컴, 어닝 서프라이즈와 주식 분할 발표 브로드컴은 지난 12일 (현지시간) 2024년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시장 예상치보다 높은 EPS와 매출을 기록했다. 브로드컴의 2분기 EPS는 8.49달러로,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인 8.43달러를 웃돌았다. 매출은 72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다. 또한 올해 매출 가이던스도 기존 500억 달러에서 510억..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1GmeQ/btsH09TR5p4/9CpaInXH3bmcyd3FTKcPFK/img.png)
인공지능(AI) 반도체 업계의 강자 엔비디아의 성장이 국내 반도체 장비 기업 한미반도체의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 한미반도체는 엔비디아의 파트너인 SK하이닉스에 필수적인 장비를 공급하고 있으며, 증권가에서는 내년 매출 1조원을 예상하고 있다. 한미반도체의 시가총액은 이미 삼성생명과 LG전자를 제치고 유가증권시장 19위에 올랐으며, 카카오와의 격차도 1조원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엔비디아 수혜로 주가 207% 폭등한미반도체는 엔비디아의 AI 반도체에 사용되는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인 HBM(High Bandwidth Memory)용 장비를 생산하고 있다. HBM은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칩인 '그레이스'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HBM을 사실상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한미반도체는 SK하..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loDyV/btsHXLZXtqw/McHMVmoND7IKTxbr4Dfvk0/img.png)
의료기기 전문업체 비스토스가 2024년 1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실적 반등의 서막을 알렸다.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의 성장과 높은 환율 수준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반기에는 ADHD 치료기기의 미국 FDA 승인을 기대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비스토스의 주가 전망은 어떤가? 1분기 흑자전환 비스토스는 태아 및 신생아 관련 의료기기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유축기, 체온계, 환자감시장치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ADHD 및 치매 치료 등 뇌 관련 의료기기 분야로의 진출도 준비하고 있다. 비스토스는 2024년 1분기 연결 매출액이 5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 했다. 또한 영업이익은 3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이는 상대적으로 비수기인 1분기에도 불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