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신안산선 노선도 정차역  개통 일정

 

신안산선은 서울 여의도에서 경기도 시흥시의 시흥시청역과 안산시의 한양대역과 원시역을 이을 광역철도 노선으로, 1997년 IMF 구제금융 요청으로 사업이 무산된 3기 지하철 중 서울 지하철 10호선 노선을 변경하였다. 신안산선은 3조3천465억원을 들여 안산·시흥부터 여의도에 이르는 44.7㎞ 구간 (정거장 15개)에 광역 철도를 놓는 사업으로, 도심지 통과노선은 모두 지하에 건설되며, 유인운전 방식으로 운행된다 . 신안산선은 수도권 내 대중교통 여건이 매우 열악한 안산 및 시흥에서 여의도까지 기존 전철을 이용하면 1시간30분 이상 소요되는 것을 30분대로 단축시켜줄 것으로 기대되며, 지역간 교통망 연결과 교통수요 충족, 교통문제 해소 등의 목적과 필요성이 있다.

 

 

신안산선 홈페이지 바로가기

 

 

신안산선 노선도

  • 신안산선은 여의도역에서 광명역을 거쳐 시흥시청역과 한양대역을 잇는 안산 노선 (30.0㎞)과 광명역에서 시흥시청역을 경유해 화성 국제테마파크역을 잇는 시흥 노선 (36.5㎞) 등 두 갈래로 이뤄져 있으며, 여의도~한양대 구간은 2025년 개통 예정이고, 여의도~화성 구간은 2027년 말 개통 예정이다.

 

  • 신안산선은 서울 지하철 9호선(여의도), 경부고속철도(KTX광명), 수인분당선(오이도), 서해안선(소사), 경강선(원시) 등과 환승이 가능하며, 향후 신의주에서 목포까지 연결하는 서해안선과 연결될 예정이다 .

 

신안산선 정차역

  • 신안산선은 여의도~한양대 구간에 여의도, 광명, 시흥시청, 매화, 은행, 정왕, 오이도, 성곡, 수리산, 원곡, 원시, 한양대 에리카 캠퍼스 등 총 12개 역이 있으며, 여의도~화성 구간에는 시흥시청, 시화산단, 시화호수, 동백, 정남, 국제테마파크 등 총 6개 역이 있다.

 

  • 신안산선의 정차역 중 매화역은 지역주민의 요구와 매화산업단지 등 주변 개발계획과 개발 여건 등을 고려해 설치를 추진하기로 한 새로운 역으로, 시흥시청∼광명역구간 (9.7km)에 위치한다.

 

신안산선 환승역과 연계

  • 신안산선은 여의도역에서 서울 지하철 9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광명역에서 경부고속철도와 환승이 가능하다 . 신안산선은 오이도역에서 수인분당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소사역에서 서해안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 신안산선은 원시역에서 경강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향후 신의주에서 목포까지 연결하는 서해안선과 연결될 예정이다 .

 

신안산선 현황과 개통 일정

  • 신안산선은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되며, 국가와 민간이 각각 2조원씩 부담하고 만약 운영수익이 부족할 경우 민간부담 지원 사업비를 정부가 일정 부분 지원하는 방식이다.

 

  • 신안산선은 2015년에 민간사업자를 선정하고, 2017년에 착공하여, 2025년 6월에 여의도~한양대 구간을 개통할 예정이다. 신안산선은 2027년 말에 여의도~화성 구간을 개통할 예정이다.

 

  • 신안산선 개통 후 전망 신안산선 개통 후 안산 및 시흥에서 여의도까지 기존 전철을 이용하면 1시간30분 이상 소요되는 것을 30분대로 단축시켜줄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교통편의성 향상, 교통비 절감, 여가활동 다양화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신안산선 전망

  • 안산 및 시흥 지역의 지역경제 활성화와 부동산 가격 상승 등의 효과가 예상되며, 동시에 대기오염 감소와 에너지 절감 등의 환경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 신안산선 개통 후 수도권 광역교통망 구축과 교통수요 충족에 기여할 것이며,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되는 만큼 신기술 도입과 운영혁신 등의 효과도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