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서해선 대곡소사선은 서울과 경기도 북부 및 경인 서부권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2단계 이북 구간이다. 소사역에서 서해선 이남 구간인 소사~원시역과 연결되며, 부천종합운동장역, 원종역, 김포공항역, 능곡역을 거쳐 대곡역까지 이어진다. 2016년 상반기에 착공하여 2023년 7월 개통 예정이다.
서해선 대곡소사선 노선과 환승역
서해선 대곡소사선은 총 9개 역으로 구성되며, 각 역마다 다른 노선과 환승할 수 있다. 서해선 대곡소사선 과 환승역에 대해 알아보자.
- 소사역: 서해선의 종착역으로, 소사~원시선과 연결된다. 소사~원시선은 1호선과 환승할 수 있는 원시역을 거쳐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부평구청역까지 이어진다.
- 부천종합운동장역: 7호선과 환승할 수 있는 역으로, 부천시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7호선은 서울시 강남구의 강남구청역부터 용인시 처인구의 보정역까지 이어진다.
- 원종역: 대장홍대선과 환승할 수 있는 역으로, 대장홍대선은 1호선과 환승할 수 있는 대장역을 거쳐 서울시 영등포구의 홍대입구역까지 이어진다.
- 대장홍대선은 아직 개통되지 않았으며, 2024년 개통 예정이다.
- 김포공항역: 5호선, 9호선, 공항철도, 김포 도시철도와 환승할 수 있는 역으로, 김포국제공항에 위치한다.
- 공항철도는 인천 국제공항과 서울역을 연결하며, 김포 도시철도는 김포시의 신도시인 김포한강신도시와 연결된다.
- 능곡역: 경의·중앙선과 환승할 수 있는 역으로, 고양시 능곡동에 위치한다. 경의·중앙선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의 계양역부터 충청북도 충주시의 충주역까지 이어진다.
- 대곡역: 3호선과 경의·중앙선과 환승할 수 있는 역으로, 고양시 일산동구 대화동에 위치한다.
- 3호선은 서울시 동작구의 오금역부터 경기도 과천시의 대공원역까지 이어진다. 서해선 대곡소사선의 수요와 파급효과 서해선 대곡소사선은 수도권 북서부 지역의 교통 편의성과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서해선 대곡소사선 수요와 파급효과
수요: 서해선 대곡소사선은 공항, 신도시, 산업단지 등을 연결하는 중요한 노선으로, 하루 평균 승객수는 약 25만 명으로 예상된다.특히, 일산~마곡나루 구간은 출퇴근 시간대에 많은 승객이 이용할 것으로 전망된다.서해선 대곡소사선은 기존에 운영되던 소사~원시선과 함께 서해1호선이라고 불릴 예정이다.
파급효과: 서해선 대곡소사선은 수도권 북서부 지역의 교통망을 다각화하고 확충하며, 지역 간 이동 시간을 단축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일산에서 마곡나루로 가는데 기존에는 1시간 30분이 걸렸으나, 서해선 대곡소사선을 이용하면 30분으로 줄어든다. 또한, 서해선 대곡소사선은 김포공항과 인천공항을 연결하는 공항철도와 연계되어 공항 접근성을 높일 것이다. 서해선 대곡소사선은 또한 지역의 경제적 활성화와 부동산 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서해선 대곡소사선 주요 도시인 고양시, 부천시, 파주시 등은 신도시 개발과 산업단지 조성 등으로 인구와 일자리가 증가하고 있다. 서해선 대곡소사선은 이러한 지역의 발전을 지원하고 유치할 수 있는 중요한 인프라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서해선 대곡소사선 주요 역들은 부동산 가격과 수요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일산역과 김포공항역은 다른 노선과의 환승 효과와 공항 접근성이 높아 매력적인 역세권으로 인식될 것이다.
'철도 도로 개발 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례신사선 노선도 정차역 개통 일정 (0) | 2023.06.19 |
---|---|
서해선 노선도 정차역 개통 일정 (0) | 2023.06.18 |
경강선 노선도 환승역 개통 일정 (0) | 2023.06.18 |
강북횡단선 노선도 정차역 개통 일정 (0) | 2023.06.18 |
신안산선 노선도 정차역 개통 일정 (0) | 2023.06.18 |